25일, 넥슨이 주최한 NDC25의 두 번째 날 넥슨 1994홀에서 진행된 엔씨 자회사 퍼스트스파크게임즈의 나태현씨와 이현희씨가 발표한 콘솔 UX 포스트모템 세션은 MMORPG의 멀티플랫폼 개발에 관심 있는 개발자들로 북적였다. 이 세션은 PC MMORPG를 콘솔 플랫폼으로 확장하며 직면한 현실적 도전과 그 해결 과정을 공유했다. 퍼스트스파크 게임즈는 엔씨소프트에서 분사한 스튜디오로, TL을 아마존 게임즈와 협력해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출시했다. 발표는 콘솔 UX 설계의 구체적 사례와 함께, 국내 MMORPG가 콘솔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퍼스트스파크게임즈 나태현씨는 클라이언트 개발자고, 이현희 씨는 프로그래머이자 콘솔TF장 겸 클라이언트 2팀 팀장을 맡고 있다. UI 엔진 개발 및 콘텐츠 개발, 입력 시스템 등의 클라이언트 개발을 주로 맡았으며 총 개발 경력은 15년 정도다.

퍼스트스파크게임즈의 나태현씨와 이현희씨가 발표한 콘솔 UX 포스트모템 세션. 의외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넥슨 1994홀을 꽉 채운 참가자들 /게임와이 촬영
퍼스트스파크게임즈의 나태현씨와 이현희씨가 발표한 콘솔 UX 포스트모템 세션. 의외로 어려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넥슨 1994홀을 꽉 채운 참가자들 /게임와이 촬영
퍼스트스파크게임즈의 나태현씨와 이현희씨가 발표한 콘솔 UX 포스트모템 세션 /게임와이 촬영
퍼스트스파크게임즈의 나태현씨와 이현희씨가 발표한 콘솔 UX 포스트모템 세션 /게임와이 촬영
퍼스트스파크게임즈의 나태현씨와 이현희씨가 발표한 콘솔 UX 포스트모템 세션 /게임와이 촬영
퍼스트스파크게임즈의 나태현씨와 이현희씨가 발표한 콘솔 UX 포스트모템 세션 /게임와이 촬영

 

콘솔 UX 개발의 핵심 목표...콘솔 액션 RPG 이용자도 TL을 직관적으로 즐겁게!

퍼스트스파크 게임즈는 TL을 PC와 콘솔로 동시 출시하며 두 가지 목표를 세웠다. 첫째, 콘솔 액션 RPG 유저도 TL을 직관적이고 즐겁게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둘째, 제한된 자원 속에서 개발 비용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인 런칭을 달성하는 것. 이를 위해 소규모 콘솔 UX 전담 TF를 구성했다. TF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 UX 디자이너, UI 아티스트로 이루어졌으며, 빠른 프로토타이핑과 콘텐츠 적용을 통해 목표를 실현했다.

 콘솔 UX 포스트모템 세션을 진행 중인 퍼스트스파크게임즈 이현희씨
콘솔 UX 포스트모템 세션을 진행 중인 퍼스트스파크게임즈 이현희씨
콘솔 게임에 이렇게 MMORPG가 없었다고? 크로스플레이 되는 PC 콘솔 게임은 TL까지 단 3종이다. NDC /게임와이 촬영
콘솔 조이스틱으로 즐기는 TL. NDC /게임와이 촬영
콘솔 조이스틱으로 즐기는 TL. NDC /게임와이 촬영
 PC TL의 대규모 RVR을 컨트롤러로 즐긴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PC TL의 대규모 RVR을 컨트롤러로 즐긴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기획, 프로그래머, 디자인더 3명...소규모로 시작된 콘솔 UX 개발팀. NDC TL /게임와이 촬영
기획, 프로그래머, 디자인더 3명...소규모로 시작된 콘솔 UX 개발팀. NDC TL /게임와이 촬영

 

콘솔 UX 설계는 컨트롤러 조작의 직관성과 가독성 향상에 초점을 맞췄다. TL은 MMORPG 특성상 복잡한 기능과 정보가 많아, 콘솔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PC 개발자들과의 협업이 쉽지 않았다. 이에 TF는 콘솔 조작 기획부터 완성도 확인까지 주도하며, 콘솔 액션 RPG 유저의 조작 문법을 적극 반영했다. 예를 들어, 스킬 슬롯이 8개에서 12개로 늘어나자 직관적 모드와 스킬 이동 모드를 모두 제공해 유저 선택의 자유도를 높였다. 또한, 크로스헤어와 락온 시스템을 도입해 타겟팅의 편의성을 개선했고, TV 환경을 고려한 글자 크기 조정 기능으로 가독성을 강화했다.

콘솔 TF의 역할은 명확했다. PC게임 TL을 콘솔에서 돌아가게 하는 것이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콘솔 TF의 역할은 명확했다. PC게임 TL을 콘솔에서 돌아가게 하는 것이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스킬 슬롯이 8개에서 12개로 늘어나자 직관적 모드와 스킬 이동 모드를 모두 제공해 유저 선택의 자유도를 높였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스킬 슬롯이 8개에서 12개로 늘어나자 직관적 모드와 스킬 이동 모드를 모두 제공해 유저 선택의 자유도를 높였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전투 외의 편의 기능은 알림 메뉴, 링 메뉴를 활용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전투 외의 편의 기능은 알림 메뉴, 링 메뉴를 활용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PC의 수 많은 기능 50가지의 키를 컨트롤러에 넣어야 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PC의 수 많은 기능 50가지의 키를 컨트롤러에 넣어야 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같은 짧게 누르기라도 어떤 버튼과 동시에 누르느냐? NDC TL /게임와이 촬영
같은 짧게 누르기라도 어떤 버튼과 동시에 누르느냐? NDC TL /게임와이 촬영
언제 떼느냐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한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언제 떼느냐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한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이것을 이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이것을 이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크로스 헤어와 락온 기능으로 타기팅 문제를 해결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크로스 헤어와 락온 기능으로 타기팅 문제를 해결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크로스 헤어와 락온 기능으로 타기팅 문제를 해결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크로스 헤어와 락온 기능으로 타기팅 문제를 해결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글자를 키워서 가독성도 높였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글자를 키워서 가독성도 높였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개발 비용 최소화와 UI 내비게이션...PC와 콘솔 UI 리소스 공통 사용

개발 비용 최소화는 또 다른 핵심 과제였다. TL은 PC와 콘솔의 UI 리소스를 공통으로 사용해 작업량과 버그 수정 비용을 줄였다. 하지만 공통 UI는 양 플랫폼 모두에서 약간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어, 설계 단계에서 세심한 밸런싱이 필요했다. UI 메뉴 조작에서는 가상 커서와 UI 내비게이션을 혼합 적용했다. 가상 커서는 개발 비용이 적고 레이아웃 변경에 유연하지만, 복잡한 MMORPG UI에서는 불편함을 유발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빈도가 높은 UI에 UI 내비게이션을 우선 적용하고, 자체 개발한 'Auton' 프레임워크로 개발 속도를 높였다.

가상 커서가 마우스 역할을 한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가상 커서가 마우스 역할을 한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가상 커서와 UI 네비 동시 지원. NDC TL /게임와이 촬영
가상 커서와 UI 네비 동시 지원. NDC TL /게임와이 촬영
오토 내비, 오톤에 대해 설명하는 퍼스트스파크게임즈의 나태현씨. NDC TL /게임와이 촬영
오토 내비, 오톤에 대해 설명하는 퍼스트스파크게임즈의 나태현씨. NDC TL /게임와이 촬영

 

Auton은 TL의 방대한 콘텐츠와 정보량을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레임워크다. 방향키로 포커스를 이동하며 메뉴를 탐색하고, 선택 정보를 유지한 채 원하는 경로로 돌아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개발 초기에는 UI 내비게이션 적용 비율이 10%에 불과했으나, 글로벌 런칭 후 1년간 80%까지 확대됐다. 이는 콘솔 UX의 지속적인 개선과 유지보수 효율성을 보여준다.

이렇게 답이 없는 것을... NDC TL /게임와이 촬영
이렇게 답이 없는 것을... NDC TL /게임와이 촬영
오톤으로 심플하게 해결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오톤으로 심플하게 해결했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TL 이용자 30%가 콘솔...글로벌 콘솔 시장을 위한 MMORPG의 방향성

국내 MMORPG는 풍부한 콘텐츠와 세밀한 시스템으로 강점을 갖지만, 콘솔 시장에서는 직관성과 접근성이 더 중요하다. TL의 사례는 이를 잘 보여준다. TL 유저의 30%가 콘솔로 즐기고 있으며, 출시 전 만족도 조사에서 콘솔 버전의 긍정적 평가가 PC보다 10% 높았다. 이는 콘솔 UX에 대한 투자가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TL 이용자중 30%가 콘솔로 즐기며, 콘솔의 만족도가 PC보다 10% 더 높았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TL 이용자중 30%가 콘솔로 즐기며, 콘솔의 만족도가 PC보다 10% 더 높았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콘솔 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초기 설계 단계부터 멀티플랫폼을 고려해야 한다. 공통 UI 리소스 사용, 콘솔 조작에 최적화된 UX 설계, 그리고 전담 TF의 빠른 의사결정이 필수다. 특히, 콘솔 조작 기획을 콘텐츠 기획자와 함께 진행하면 라이브 서비스의 안정성과 개발 효율이 높아진다. TL은 PC와 콘솔 동시 출시를 통해 MMORPG의 글로벌 가능성을 열었고, 이는 국내 개발사들이 콘솔 시장에 도전할 때 참고할 만한 이정표다.

PC의 콘솔 UX의 핵심은 패드 조작, 입력 방식 지정 가능, 타기팅과 가독성 향상 4가지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PC의 콘솔 UX의 핵심은 패드 조작, 입력 방식 지정 가능, 타기팅과 가독성 향상 4가지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PC/콘솔 공통 UI를 사용해야 한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PC/콘솔 공통 UI를 사용해야 한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개발 초기부터 콘솔 UX를 고려해야 한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개발 초기부터 콘솔 UX를 고려해야 한다. NDC TL /게임와이 촬영

 

저작권자 © 게임와이(Gam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