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트아크 모바일(Lost Ark Mobile)의 클로즈 베타 테스트(CBT)를 체험한 결과, 이 게임의 가장 큰 무기는 단 30분의 인트로 구간이었다. 스마일게이트RPG가 2018년부터 개발해온 이 모바일 MMORPG는 원작 PC 게임의 세계관을 계승하면서도, 모바일 플랫폼에 최적화된 독자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데 집중한 흔적이 역력했다.

게임을 시작하자마자 UI 하나 없이 인트로 무비가 펼쳐진다. 흥미로운 점은 화면 구성이다. 일반적인 모바일 게임보다 훨씬 넓은 화면 비율을 사용하면서, 마치 PC 게임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인터페이스를 보여준다. 다만 조작 버튼만큼은 모바일 환경을 고려해 크고 직관적으로 배치했다. 언리얼 엔진5로 구현된 그래픽은 3D 게임임에도 불편한 골짜기 현상이 거의 눈에 띄지 않았고, 콘솔 게임과 견줄 만한 시각적 완성도를 자랑했다.

클래스를 선택하고 난 이후의 30분이다. 
클래스를 선택하고 난 이후의 30분이다.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하고 난 이후의 30분이다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하고 난 이후의 30분이다

 

언리얼 엔진5가 빚어낸 30분의 몰입, 플레이어를 능동적 참여자로

인트로 구간의 핵심은 플레이어의 능동적 참여다. 단순히 영상을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거대 보스와의 전투 중 화면을 위로 슬라이드하거나 특정 지점을 터치하는 등 즉각적인 반응을 요구하는 순간들이 30분 내내 이어진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요소는 대사, 캐릭터의 움직임, 무비 영상과 자연스럽게 결합되며, 특히 무비 장면에서도 플레이어의 캐릭터를 그대로 활용해 게임 플레이와 영상 사이의 괴리감을 최소화했다. 결과적으로 30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스토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셈이다.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다만 튜토리얼 부분에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대시 버튼과 회피 기능의 구분, 기본 공격 방법, 4개 스킬의 세부 특성 등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않아 초반에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중앙의 큰 버튼을 공격 버튼으로 착각하는 등, 직관적이지 않은 UI 배치도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전투 난이도는 상당히 낮은 편이다. 이동해야 할 지점을 원형으로 표시하고, 터치가 필요한 순간에는 충분한 여유 시간을 제공하며, 보스전조차 설렁설렁 플레이해도 클리어할 수 있을 정도다. 이는 의도된 설계로 보인다. 스토리 전투에서 패배해 몰입감이 깨지는 상황을 방지하고, 플레이어가 '강한 적을 쓰러뜨렸다'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세심하게 조율한 결과다.

그래픽의 박진감은 특히 인상적이다. NPC가 지속적으로 동행하며 연속성을 유지하고, 화면 전체를 뒤덮는 이펙트, 고정되지 않고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카메라 구도가 액션 영화를 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유령들이 등장하는 장면에서 플레이어가 '빛에 속한 자'임을 증명하는 연출은 어두운 배경 속에서도 보라빛과 밝은 빛의 조합으로 아름다운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낸다.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하이힐 신은 거대 여성 보스와의 대결, 인트로의 클라이맥스

보스전은 30분 인트로의 하이라이트다. 수호자와의 전투에서 '빛이 선택한 자'임을 증명하는 과정, 체력 게이지가 3개나 되는 강력한 보스를 쓰러뜨리는 쾌감, 장판 패턴을 피하며 진행하는 전략적 플레이 등이 조화를 이룬다. 특히 여성 거대 보스와의 대결은 시각적 임팩트가 가장 뛰어난 장면으로, 하이힐을 신고 전투를 벌이는 독특한 설정과 함께 구조물 사이를 미끄러지듯 이동하는 연계 액션이 콘솔 게임 수준의 완성도를 보여준다.

스토리는 원작 로스트아크의 세계관을 충실히 따른다. 주인공은 봉인된 탑 주변의 어둠에 잠긴 성소에서 여러 보스를 연이어 쓰러뜨리고, 결국 트리시온(Trishion)이라는 '세상의 끝'에 도달해 날개 달린 라제니스족 베아트리스(Beatrice)를 만난다. 베아트리스는 주인공을 아크를 찾는 여정으로 인도하며, 이후 스토리는 레온하트(Leonhart)라는 마을로 이어진다. 공간 설계의 디테일도 놀랍다. 봉인된 탑 주변의 넓은 지역, 정교한 건물 오브젝트 등은 "이것을 만드는 데 몇 개월이 걸렸을까" 싶을 정도로 방대하면서도 아름답다.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전투 시스템은 기존 MMORPG의 법칙을 따르면서도 콘솔 게임의 요소를 가미했다. 퀘스트 창을 누르면 이동 방향이 표시되는 등 익숙한 UI를 유지하면서, 중간중간 터치 액션을 요구하는 콘솔 게임 특유의 연출을 삽입했다. 대시 버튼의 쿨타임이 7~10초 정도로 긴 편이라 그 사이에는 컨트롤을 활용해 공격을 피해야 하며, 스킬 버튼은 동시 입력 시 예약 기능이 작동한다. 다만 버튼을 눌렀을 때 즉각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가끔 있었는데, 이는 서버 통신 문제로 추정된다.

발열 문제는 크지 않았다. "손을 댈 수 없을 정도로 뜨겁다"는 수준은 아니고, "겨울인데 따뜻하네" 정도의 온기가 느껴지는 정도였다. 시점은 쿼터뷰로 고정되어 있으며, 시점 변경 기능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30분의 인트로가 끝나고 본격적인 게임이 시작되면, 이 작품이 MMORPG의 DNA를 강하게 계승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그 30분 동안만큼은 콘솔 게임을 능가하는 시네마틱 경험을 제공한다. 원작 로스트아크를 처음 플레이했을 때의 기억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온다.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 /게임와이 촬영

 

로스트아크 모바일은 2026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5년 11월 현재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이번 CBT에서 경험한 30분의 인트로는 스마일게이트RPG가 얼마나 이 게임의 첫인상에 공을 들였는지 보여준다. 튜토리얼 개선과 서버 반응 속도 최적화 등 해결해야 할 과제는 남아 있지만, 그래픽과 스토리텔링만으로도 충분히 기대작으로서의 가치를 증명했다.

하늘이 갈라지고 땅이 요동치는 임팩트 넘치는 장면 연출, 예술 작품처럼 아름다운 그래픽, 그리고 플레이어를 주인공으로 만드는 서사. 이 세 가지가 조화를 이룬 30분이, 앞으로 펼쳐질 로스트아크 모바일 세계로의 여정에 대한 기대감을 충분히 키워놓았다. 남은 것은 최적화와 운영이다. 이것만 해결된다면 갓게임의 반열에 들 수 있는 충분한 자격을 갖추었다.

로스트아크 모바일 30분 인트로에 모든 걸 쏟았다. 콘솔급 퀄리티

 

저작권자 © 게임와이(Gam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