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성남시가 주최하고 게임문화재단과 성남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GXG 2025'가 9월 19일 판교역 일대에서 개막했다. 우천으로 일부 야외 프로그램이 취소되거나 축소됐지만 관람객 발길은 이어졌고, 메인 광장과 북측 광장, 인근 실내 공간까지 대기 열이 형성됐다. 축제는 20일까지 이어진다.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행사는 '게임과 문화의 만남' 기조 아래 도심 한가운데에서 체험·전시·공연을 묶은 구조로 운영됐다. 판교역 중앙 광장에는 호요버스 '젠레스 존 제로' 체험존이 설치돼 게임 속 '뉴에리두' 콘셉트를 재현했고, 시연과 포토존, 메시지월 등 부대 프로그램이 동시 진행됐다. 코스튬 플레이어와의 포토 이벤트가 이어지며 현장 체류 시간이 길어졌다.

행사는 판교역 지하철 플랫폼에서부터 시작해 테크원 빌딩 실내, 광장을 비롯한 상가 블럭까지 모두 축제의 현장으로 꾸며졌다. 두 개의 스테이지와 다양한 체험존 등으로 꾸며진 이번 행사는 우천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북측 광장에는 슈퍼셀 부스가 자리했다. '브롤스타즈'를 중심으로 가족 단위 관람객이 참여하는 이벤트가 상시 운영됐고, 퀴즈와 경품 프로그램으로 체험 동선을 유도했다. 스마일게이트가 운영하는 게임 접근성 부스는 시선추적장치, 발 스위치, 키패드형 보조기기 등 보조 장비를 전시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플레이 환경을 소개했다.

인근 테크원 빌딩 실내에서는 '인디크래프트' 체험이 진행됐다. 다양한 국내 인디 작품이 시연대를 통해 공개됐고, 대학생 창작 전시 'GXG 캠퍼스 아케이드'와 아트북 라운지에서 일러스트 전시와 굿즈 판매가 병행됐다. 실내 공간은 비 영향을 덜 받아 관람 동선이 꾸준히 유지됐다.

콘솔 체험 구역도 관람객을 모았다. 'NBA 2K26', 'WWE 2K25', '탑스핀 2K25' 등 다양한 타이틀이 배치됐고, 클라우디드 레오파드 엔터테인먼트는 신작 '하늘의 궤적 디 퍼스트' 시연 공간을 운영했다. 현장에는 인근 직장인과 지역 주민도 방문해 주말 나들이형 관람이 더해졌다.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공연과 컨퍼런스 프로그램은 비 속에서도 계획대로 문을 열었다. 개막식 이전에는 지난해 'GXG 사운드트랙' 대상 팀의 사전 무대가 진행됐고, 개막식 이후 가수 에일리의 축하 공연이 이어졌다. 국악과 록, 펑크 등 장르를 넘나드는 게임 음악 연주가 메인 무대와 서브 스테이지에서 교차 배치됐다. 우천 상황을 고려해 게임 음악 경연대회 '사운드트랙' 일정은 현장 상황에 맞춰 조정됐다.

산업·창작 담론을 다루는 'GXG 2025 컨퍼런스'는 그래비티 조선 서울 판교 B1 스페이스 볼룸에서 열렸다. 인공지능을 중심 주제로 연사들이 게임 산업 전망을 공유했고, 개그맨 김경식, 작가 이종범, 게임칼럼니스트 이경혁, 미술 큐레이터 권태현이 참여한 좌담에서는 시각예술과 대중문화의 접점을 논의했다.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올해 'GXG 2025'는 중앙 광장 'THE STAGE', 체험형 'THE PLAY', 전시형 'THE ART', 연계 행사 'THE FESTA', 컨퍼런스 'THE FOCUS' 등 다섯 개 테마로 구성됐다. 공간 배치는 중앙·북측·서측·지하 광장과 실내 전시장을 연계해 비가 오는 상황에서도 체험·전시·공연 동선이 분산되도록 설계됐다. 주최 측은 안전 관리에 방점을 두고 둘째 날 관람 흐름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gxg 2025 현장 / 게임와이 촬영

첫날 현장 메시지에서도 축제 성격이 분명해졌다. 도심 접근성 덕분에 비가 내리는 가운데서도 시민 참여가 이어졌고, 신작 홍보보다 '게임을 문화로 조명'한다는 운영 방향이 체험과 전시, 음악, 접근성 소개를 통해 드러났다. 성남시는 개막식에서 'GXG'의 외연 확장을 예고하며 도심형 게임문화행사로서의 정체성 강화를 강조했다.

'GXG 2025'는 20일까지 판교역 일대에서 진행된다. 주최 측은 기상 상황이 완화될 경우 관람 수요가 늘 것으로 보고, 마지막까지 안전 운영을 우선순위에 두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저작권자 © 게임와이(Gam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