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기 신임산업협회장 / 게임와이 촬영
조영기 신임산업협회장 / 게임와이 촬영

 

조영기 신임 한국게임산업협회장이 2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게임 산업의 위기 극복과 재도약을 위한 비전을 밝혔다. 그는 ‘연결, 소통, 협력’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제시하며, "국내 게임업계가 직면한 다양한 난제들을 업계 구성원, 정부, 글로벌 파트너들과 함께 해결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조 회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질병코드 등재, 근로 환경, 게임사의 양극화, 글로벌 진출 전략 등 업계 전반의 현안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을 내놨다.

게임이용장애의 질병코드화 논의에 대해 조 회장은 "게임이 중독의 원인으로 낙인찍힐 경우, 종사자와 e스포츠 선수들의 자긍심은 물론 산업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며 강한 우려를 표했다.

그는 "국내에서는 관련 정부 부처 및 학계와 협조해 과학적인 근거와 절차를 통해 반대 입장을 피력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글로벌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WHO 차원의 논의에도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주 52시간 근무제와 관련해서는 유연한 근무 제도의 도입을 제안했다. 그는 "게임 개발 특성상 출시 전 집중근무가 불가피하다"며 "재량근로제 확대와 탄력근무제 기간 연장 등을 통해 실질적인 업무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주요 게임사들이 블록체인 기반 게임 서비스를 준비 중인 가운데, 조 회장은 "블록체인 게임은 중요한 미래 사업 모델이나, 현재 국내에선 법적 제약으로 서비스가 어려운 실정"이라며 "규제 개선을 위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에 대해서는 "국내 게임사의 실질적인 매출 감소가 현실화되고 있다"며 "수출 지원 확대, 글로벌 시장용 콘텐츠 제작 지원 등을 정부에 제안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로 13년 차를 맞이한 게임쇼 ‘지스타’에 대해서도 방향성을 제시했다. 조 회장은 "지스타는 국내 기업 중심이라는 인식이 있다"며, "콘솔과 인디게임을 포함한 해외 개발사의 참여를 늘리고, 국제 컨퍼런스(G-CON)도 글로벌 인사를 초청해 확대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게임 산업 내 양극화 문제에 대해 조 회장은 "코로나 이후 스타트업 창업이 줄고 중견기업의 채용도 어려워졌다"며, "협회는 정부와 함께 스타트업 지원 펀드 조성, 인재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젊은 인재를 발굴해 중견·중소 게임사와 연결하고, 주요 게임국가 및 마케팅 기업과 협력하는 DB를 구축해 회원사에 제공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조영기 신임산업협회장 / 게임와이 촬영
조영기 신임산업협회장 / 게임와이 촬영

 

회원사 이탈 문제에 대해 조 회장은 "협회의 실질적 역할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며 "정책, 저작권 보호, 사회적 인식 개선 등을 통해 회원사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회원사를 10곳 이상 확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존 회원사와의 관계 강화 및 탈퇴한 기업의 복귀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조 회장은 게임이 여가 문화로서 가지는 사회적 역할에 대해 개인적인 경험도 공유했다. "아들과 주말마다 게임을 함께 즐기며 소통해왔다"며 "게임은 세대 간 장벽을 허무는 소통의 매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게임이 영화, 음악처럼 대중적 인지도를 갖지 못한 현실을 언급하며 "개발자 중심이 아닌, 일반 대중이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로 자리잡기 위한 시도를 협회가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회장은 "게임 산업은 대한민국 콘텐츠 산업 수출의 중심이자 국민 여가문화의 핵심"이라며, "협회가 업계와 정부의 가교가 돼,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든든한 기반이 되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게임와이(Gam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