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이용자들이 흔히 즐기는 수집형 게임들에는 모두 뽑기가 들어가 있다. 이는 일반 MMO가 됐든 방치형이 됐든 관계없이 동일하다. 이런 수집형 게임들에는 수집의 욕구를 자극할만한 요소들이 존재하는데, 그 특징이 가지각색이다.

보통은 매 패치마다 좋은 성능의 새로운 캐릭터를 출시하여 해당 캐릭터를 뽑을 수 밖에 없도록 만든다. 게임에 이용자간 경쟁요소가 들어있다면 이는 더욱 필수 요소가 된다. 흔히 '핵과금 유저'라고 불리우는 상위권 이용자들은 다른 이용자에게 뒤쳐저서는 안되기 때문에 새로운 캐릭터를 뽑는다. 물론 이것은 리니지와 같은 모든 종류의 RPG들에도 해당되지만, 수집형 게임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반대로 성능이 아닌 외모를 보고 뽑기를 시도하는 그룹이 존재한다. 이런 이용자가 많은 게임은 플레이어가 뽑고 싶은 외형의 캐릭터를 만드는데 집중하는데, 이 경우 보통은 스킨을 만들어 판매하는 형식의 BM을 취할 때가 많다. 게임을 자연스럽게 풀어갈 수 있도록 만드는 대신 캐릭터 일러스트에 힘을 주는 근본적인 수집욕 자극의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이런 게임은 무리한 과금 요소가 없는 경우가 많아 게임 서비스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라스트 오리진'의 경우가 그러한데, 이 게임은 심지어 스킨을 가챠 형식으로 풀지 않고 정가로 판매한다. 덕분에 착한 게임의 이미지는 고수할 수 있었지만 매출이 큰 폭으로 늘지 않는다는 치명적 단점이 생긴 케이스가 됐다.

착하지만 매출이 큰 폭으로 늘지 않는다는 치명적 단점을 가진 '라스트 오리진'
착하지만 매출이 큰 폭으로 늘지 않는다는 치명적 단점을 가진 '라스트 오리진'

 

그런데 최근에는 캐릭터를 뽑게끔 유도하는 BM의 정도가 점점 심해지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수집형 게임의 특징 중 전자에 해당하는 게임이 안 좋은 형태로 발전한 경우다.

'수집욕'이 매출의 핵심이지만 여기에 터무니 없는 확률, 대책 없는 경쟁 요소 도입 등 다양한 시스템들이 이용자를 지쳐가게 만들었다. 그렇다면 뽑기라는 근본적인 비즈니스 모델은 유지하면서 수집욕 본연의 정체성은 유지하는, '적당히 착한'게임이 되려면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할까?

여기 몇 가지 게임들이 그 예시를 보여줬다. 바로 '쓰알(SSR)'캐릭터 만큼 중요한 '알(R)'캐릭터를 만드는 것이다. 

먼저 텐센트의 '백야극광'에는 물, 불, 전기, 숲의 4가지 속성이 존재하고 각 속성별로 SSR, SR, R 등급의 캐릭터들이 있다. 물론 네 속성 모두 다 키워야 하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한 속성의 덱만 꾸려도 스토리를 미는데는 전혀 지장이 없다.

출시 초기 전기 속성의 경우 저 코스트 힐러 '나딘'이 압도적 성능을 보여 필수적으로 선택해야 했고, 체인저는 굳이 최고 등급이 아니더라도 '유니메트'라는 최저 코스트의 대체재를 만들어놨다. 덱을 '쓰알(SSR)'로 둘둘 두르지 않아도 전혀 지장이 없는 것. 마찬가지로 물 속성 서포터에는 '필리시' 등 SSR의 대체 카드는 얼마든지 존재한다.

가장 저 코스트임에도 반드시 편성되는 '나딘'
가장 저 코스트임에도 반드시 편성되는 '나딘'

 

펄어비스의 '슈퍼스트링'도 같은 케이스다. 게임 출시 후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 슈퍼스트링은 SS가 아닌 S나 A등급에 성능이 좋은 캐릭터를 포진시켰다. 예를들어 '교란형'이라는 포지션에서 SS등급에는 '아지태'라는 캐릭터가 존재하는데, 평균적으로는 이 캐릭터를 잘 사용하지 않고 S급에 속한 '강성현'이나 A급의 '우치다 교이치'가 주전으로 평가받았다. 같은 맥락으로 '지원형' 포지션에서는 SS급 캐릭터가 아닌 '강하늘'이나 '요한'이 차용되는 빈도가 높았다. 이런 부분이 덱 구성의 난이도를 낮춰주는 역할을 했다.

SS급보다 좋은 성능의 S, A급?
SS급보다 좋은 성능의 S, A급?

 

11월 출시를 앞둔 넥슨의 '블루 아카이브'도 이런 흐름에 편승한 것으로 보인다. 블루 아카이브의 캐릭터들은 기본적으로 탱커, 어태커, 서포터, 힐러, TS로 나뉜다. 

덱을 편성할 때는 탱커와 힐러의 존재가 중요한데, 힐러의 경우 2코스트 캐릭터 '세리나'가 무조건 들어가도록 되어있다. 앞선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저 코스트임에도 훌륭한 성능을 보유한 것. 같은 개념으로 서포터 포지션에 '코타마'가 존재한다. 코타마는 1성임에도 덱의 공격력을 책임지는 최강의 버퍼로 평가받는다.

압도적 성능의 1성 힐러 '세리나'와 1성 서포터 '코타마'
압도적 성능의 1성 힐러 '세리나'와 1성 서포터 '코타마'

 

살펴본 것과 같이 변화를 거듭한 수집형 게임들은 SS급이라던가 SSR등급의 카드를 강요하지 않고 S등급이나 SR등급의 대체재가 존재한다. '굳이 쓰알(SSR)'을 뽑지 않아도 되게끔 만든 것. 이러한 방식이 아니면 'SSR만큼 중요한 R캐릭터를 만들어' 플레이어의 덱 구성에 무리를 덜어주고 있는데, 이는 적절한 선에서 뽑기를 취사 선택할 수 있게끔 발전된 수집형 게임의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물론 기본적으로 수집형 게임인 만큼 '최종 콘텐츠를 위해서' 혹은 '남들보다 강해지기 위해서'는 최강의 덱을 꾸려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어떤 게임처럼 최강의 덱을 꾸리면 '그제서야 남들과 비벼볼 수 있는' 터무니 없는 수준의 게임으로 만들어놓지는 않았다. 이와 같은 발전도상이 추후 개발사와 이용자가 함께 웃는 게임 문화를 만드는데 일조할 수 있지 않을까.

저작권자 © 게임와이(Gam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