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가 18일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개최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기술 시연회에서 공개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스테이블 원'을 둘러싸고 기자들과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 현실적인 우려와 기대감이 동시에 제기됐다.
프로젝트 스테이블 원(PROJECT STABLE ONE)’은 위메이드의 전용 블록체인 메인넷 이다. 위메이드는 행사에서 이 프로젝트를 통해 ▲원화 스테이블 코인 대중화를 통한 불편함과 불안함의 해결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스테이블 코인 전용 고성능 블록체인 개발 ▲투명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스테이블 코인 인프라 제공이라는 키 메시지를 전달하며 위메이드가 그리는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가장 큰 관심사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입법 일정과의 연관성이었다. 기자간담회 현장에서 "스테이블코인 단독 입법이 아닌 가상자산 통합 입법으로 진행되면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는데, 입법이 내년 1분기를 넘어가면 출시를 미루는 것이냐"는 질문이 나왔고, 김석환 위메이드 부사장은 "입법은 저희 소관이 아니라서 확답하기 어렵다"면서도 "우리나라 행정과 국가 기능이 전 세계 탑 수준으로 빠르기 때문에 빠르게 입법해줄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안용운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보다 명확한 입장을 보였다. "법 제정과 관계없이 출시는 그대로 할 것"이라며 "중요한 건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릴리즈돼 많은 개발자들이 참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존 위믹스 3.0 체인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별도 체인을 만드는 이유에 대한 질문에는 현실적인 제약을 인정했다. 김 부사장은 "퍼블릭 메인넷을 최초 발행체인으로 이용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했다"며 "당국에서 들여다보고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되려면 전용 체인이 필요하고 규제 기능과 컴플라이언스 기능이 얹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체인 형태는 프라이빗이 아닌 컨소시엄 체인으로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과거 해킹 사고로 인한 보안 우려에 대해서는 솔직한 반성과 함께 개선 의지를 드러냈다. 김 부사장은 "뼈저리게 반성하고 있다"면서도 "바이낸스도 올해 1조원 넘게 해킹당했고 SK텔레콤, KT 등 굴지 기업들도 해킹 사고가 난다"며 "성장 과정이라고 생각해달라"고 말했다. 안 CTO는 보다 구체적인 대응책을 제시했다. "24시간 모니터링을 하고 있고, 진짜 심각한 경우에는 거래를 일시정지할 수도 있다"며 "웹3 체인 운영 업체 중 이렇게 하는 곳은 없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다른 거래소들과의 차별점을 묻는 질문에는 경험과 노하우를 내세웠다. 김 부사장은 "네이버 지식인 처음 런칭할 때도 컨셉은 단순했지만 어떻게 만들어 나가고 운영하느냐가 중요했다"며 "8년의 블록체인 사업 경험이 있는 위메이드의 장점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특히 "두 달 만에 이렇게 준비해서 시연할 수 있는 회사가 과연 우리나라에 있을까"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멀티체인 발행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보안에 대한 고민을 드러냈다. 안 CTO는 "결국 이 코인이 발행돼도 사용이 돼야 하는데, 얼마나 많은 체인에 안정적으로 민팅할 수 있느냐가 경쟁력"이라며 "서클의 CCTP 기반 프로토콜을 사용해 세계적 표준 수준의 보안을 유지하겠다"고 설명했다.
첫 번째 활용 분야에 대한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정책 당국의 의지가 관건이라고 답했다. 김 부사장은 "현재 4대 원화 거래소에서 하루 USDT, USDC 거래액이 상당한데, 정책적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거래를 유도한다면 거래소에서 가장 빨리 이용될 것"이라며 "객관적으로는 온체인 디파이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어 금융시장 거래수단으로 빠르게 활용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파트너십 현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여러 회사들과 얘기하고 있지만 NDA를 체결한 회사도 있어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국내외 파트너들과 다양하게 논의하고 있다"고만 밝혔다.
위믹스 사업과의 병행에 대한 우려에는 역량 집중 효과를 강조했다. "스테이블코인 관련 기술과 서비스를 이미 다 경험하고 개발해봤기 때문에 두 달 만에 시연이 가능했다"며 "역량을 분산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역량을 극대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부사장은 마지막에 "1세대 블록체인 기업으로서의 최소한의 자존심과 책임감이 있다"며 "위메이드가 발행 사업자가 안 될지라도 한국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에 기여하고 싶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