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GDC][인터뷰] 인체 장기 속 메트로베니아 세계 탐험기 '셀라리움(Cellarium)'
- GIGDC2025 기획 대학부 대상 수상작 '셀라리움 (Cellarium)' 팀 프로젝트 : 셀 인터뷰 - 인체 장기 구조를 메트로베니아 맵으로 구현한 2D 어드벤처 게임 제안
2014년에 시작하여 현재 12년째 운영되고 있는 글로벌 인디 게임제작 경진대회(GIGDC)는 국내 최대 규모 인디게임 제작 공모전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최하며, (사)한국게임개발자협회가 주관하여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인디 게임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오고 있다.
특히 기획·기술·아트 등 제작 전반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제작부문’은 참가 경쟁률이 높아 대상 수상은 개발팀의 완성도와 잠재력을 동시에 인정받는 의미있는 성과로 여겨진다.
제작 부문과 기획 부문으로 크게 나누어져 있으며 제작 부문의 경우 일반부 / 대학부 / 중고등부로 기획 부문의 경우 대학부 / 중고등부로 세부적으로 나누어 공모을 받아서 각각 대상, 금상, 은상, 동상으로 총 20개 수상작을 선발하고 있으며 수상작들은 대한민국 국가대표 인디 게임'이라고 불리는 수준 높은 작품들이 대거 포함되어 있다.
인디 게임의 대표적인 성공작들인 사우스포 게임즈의 '스컬'과 원더포션의 '산나비'도 GIGDC 역대 수상작품들이다.
게임와이는 GIGDC 2025에서 수상한 개발팀들의 이야기들을 들어보았다.
이번 기사에서 소개할 팀은 사람의 신체 장기를 무대로 한 독창적인 세계관을 2D 메트로베니아·퍼즐 액션 구조로 설계한 작품으로 기획 부문 대학부 대상을 수상한 '팀 프로젝트 : 셀'이다.
'셀라리움 (Cellarium)'은 인체 내부를 탐험하며 장기에 침투한 세균·바이러스·돌연변이 생명체를 정화하는 과정을 담은 2D 메트로베니아 퍼즐 액션 기획안으로 각 장기는 실제 인체 구조와 기능에서 영감을 받아 독자적인 기믹·트랩·퍼즐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핵심 시스템인 ‘분열 능력’을 활용한 전략적 전투, 퍼즐 풀이, 이동이 주요 특징이다.
이제부터 '셀라리움 (Cellarium)'을 제작하고 있는 팀 프로젝트 : 셀(Project : Cell )에 대해 알아보자.
GIGDC 2025 대학부 기획 부문 대상 '셀라리움 (Cellarium)' 영상
1. 팀 소개와 수상 작품인 게임 ''셀라리움 (Cellarium)' 에 대한 소개를 해달라
팀 프로젝트 : 셀(Project : Cell ) 은 5명으로 대학교 게임 기획 동아리 멤버들로 구성된 팀이다.
수상 작품인 '셀라리움(Cellarium)' 은 감염된 인체 내부를 탐험하며 병든 조직을 정화하는 2D 메트로베니아 퍼즐 액션 게임으로 각 장기의 특징을 반영한 기믹 설계와 분열 시스템이 핵심 요소이다.
2. 게임을 기획하게 된 계기를 이야기 해달라
프로젝트는 학과 동아리에서 2D 메트로베니아 장르를 본격적으로 기획해보자는 의견에서 출발하였고 몸속 장기의 복잡한 구조가 메트로베니아의 지형 구성과 자연스럽게 어울린다고 판단해 콘셉트를 확정했다.
세포와 병원체의 특성을 조사하던 중 ‘분열’이라는 시스템이 장르적 재미와 세계관 해석 모두에 적합해 핵심 시스템으로 기획하게 되었다.
3. 기획 과정에서 기억에 남는 순간이나 어려웠던 점이 있다면?
초기에는 ‘퍼즐 중심 플랫포머’ 구조로 접근했으나, 두 캐릭터를 동시에 조작하는 방식이 정적이고 몰입감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있어 분열 능력을 메트로베니아 구조와 결합하면 더 역동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다고 판단해 액션성을 강화했다
추가로 분열 대시’와 같은 기동·전투 요소를 기획하여 퍼즐·전투·탐험이 균형을 이루는 형태로 발전시켰다.
4. GIGDC 지원 프로그램은 팀에 어떤 도움이 되었나?
현업 개발자들에게 직접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던 점이 큰 도움이 되었으며, 기술적 조언뿐 아니라 글로벌 진출을 위한 홍보 전략, 개발 과정에서 갖춰야 할 자세 등 실질적인 조언을 들을 수 있어 시야가 넓어지는 경험이었다.
5. GIGDC 대회 수상 이후의 활동은 어떻게 이어지고 있나?
졸업을 앞둔 팀원들은 포트폴리오 제작과 기획 작업을 병행하고 있으며, 아트·모션 담당 팀원은 3D 및 모션 툴 학습을 통해 취업 준비를 이어가고 있고 또 다른 팀원은 시나리오 및 번역 분야 진출을 목표로 어학 공부에 집중하고 있다.
6. 앞으로의 개발 목표나 팀의 장기적인 비전이 있다면?
현재 프로그래머와 사운드 담당 인력 충원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이고 또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 활용, 개발비 확보를 위한 크라우드펀딩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향 후 인력 보충이 이루어지면 프로토타입 제작을 본격적으로 시작해 실제 개발 단계로 진입할 계획이다.
[GIGDC2025] Cellarium l Project : Cell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