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럭 시위에도 이어진 ‘확률형 아이템’ 논란…국정 감사 오른다
-한국게임학회 “유저 피로감 올라가고 게임사 신뢰 무너져”
올해 초 국내 게임업계에 논란이 되었던 ‘확률형 아이템’ 이슈가 내달 1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국회는 확률형 아이템 이슈와 관련해 국내 게임업계 3N(넷마블, 넥슨, 엔씨소프트)으로 알려진 대형 게임사들의 창업주와 개발총괄담당자를 증인 및 참고인으로 소환했다.
2021년 게임업계는 확률형 아이템 논란에 따른 트럭 시위 연쇄 파동으로 몸살을 앓았다. 넷마블의 ‘페이트 그랜드 오더’에서 시작된 이용자들의 불만은 엔씨소프트의 ‘프로야구 H2’와 ‘리니지M 문양 시스템 롤백 사건’을 거쳐 넥슨의 ‘마비노기’, ‘메이플 스토리’ 확률 조작 사건에 이르러 폭발했다. 이에 전례 없던 이용자 단합이 이루어져 통칭 ‘3N(넥슨, 엔씨, 넷마블)’을 비롯한 개발사에 비대면 장기 트럭시위를 유발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이용자들은 사과문과 시스템 개선 의사를 밝힌 대형 개발사들에 변화가 시작될 것이라 예상했다. 하지만 지난 8월, 엔씨의 ‘블레이드&소울2’가 출시되고 BM에 큰 변화가 없음을 확인한 소비자들은 한국 게임 전반에 대한 신뢰를 내려놓았다.
이에 국회 정무위원회는 지난 16일 김정주 넥슨 창업주와 강원기 메이플스토리 디렉터를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했다. 확률 조작 논란에 대한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다. 아울러 17일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강신철 한국 게임산업협회장을 증인으로,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을 참고인으로 신청했다.
이어 23일 한국게임학회는 성명문을 발표하고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를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게임학회는 "엔씨는 확률형 아이템 최대의 수혜자이자 논란의 중심"이라는 뜻을 전했다.
더불어 "확률형아이템에 대한 게임 이용자의 반발과 피로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며 "소비자의 지탄을 받는 산업은 오래갈 수 없다. 그럼에도 3N 등 대기업 게임사들의 변화에 대한 노력은 부족하며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23일 기준 엔씨소프트는 58만 4천 원으로 장을 마쳤다. 올 초 100만 원 선을 돌파했던 것에 대비해 9월 셋째 주 들어서는 60만 원 선이 깨지기에 이르렀다. 올 초 확률형 아이템 논란이 불거지면서 한 번 주가가 떨어졌고, 지난달 26일 ‘블레이드&소울2’가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자마자 큰 폭으로 휘청이기 시작했다.
이에 엔씨는 지난 8일 자사주를 매입하겠다고 공시했다. 블소2에 대해서는 이용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과금 없이도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도록 개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김택진 대표이사는 자사 직원들에게 “대표이사로서 엔씨가 직면한 현재 상황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 그 동안 당연히 여겨왔던 방식과 과정에 의문을 품고 재점검하겠다”며 비즈니스 모델 등 최근 논란이 되었던 부분에 대한 개선 의지를 밝혔다.
국감과 관련해 위정현 학회장은 “이번 엔씨의 ‘블소2’사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여전히 대기업 게임사들은 확률형 아이템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 게임사 내부의 자정 의지와 노력이 게이머의 눈 높이에 미치지 못한다면 외부적인 강제를 통해 변화시킬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국감은 한국 게임사의 질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국감이 되어야 할 것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