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앱스토어 수수료 30%에서 15%로 인하한다. 구글은?

애플이 내년부터 앱스토어 수수료율을 기존 30%에서 15%로 인하한다. 애플은 18일, 앱스토어에서 연간 순매출이 100만 달러(약 11억원) 미만인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수수료를 15%로 낮춘다고 발표했다. 애플의 이 같은 결정으로 내년 1월 1일부터 기존 개발자는 물론이고 이전에 앱스토어에서 앱을 판매한 적이 없는 신규 개발자도 15%의 수수료만 부담하게 됐다. 물론 순매출액이 100만 달러가 넘어가면 30%의 수수료가 적용된다.
애플은 이번 수수료 인하에 대해 ‘코로나 19로 어려운 중소기업과 개인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 19로 많은 소규모 회사와 개인들이 경제적 어려움에 빠져 있기 때문에 수수료를 낮춰 영세 개발사 및 개발자에게 좀더 수익 배분을 유리하게 한 것이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는 18일, 애플 뉴스룸을 통해 ‘중소 개발자들이 양질의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이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애플 앱스토어는 2008년에 오픈한 이후 현재까지 180만개 이상의 앱이 있고, 작년에만 5190억 달러(약 572조원)에 달하는 매출을 기록했다. 현재 애플 앱스토어에는 2800만명의 개발자 및 개발사가 존재하며, 이중 대형 개발사를 제외하고 상당수의 앱 개발자들이 이번 프로그램의 수혜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수수료율 변경으로 인해 더 많은 개발자들이 앱을 개발하고, 앱스토어에 머물게 될 것’이라며 ‘수수료 인하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수익이 창출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구글은 내년부터 플레이스토어의 결제 수수료 30% 적용 대상을 게임에서 모든 디지털 콘텐츠로 확대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구글은 지금까지 게임만 적용하던 인앱 결제 정책을 만화, 소설 등 모든 디지털 콘텐츠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등록하는 신규 앱은 내년 1월 20일부터, 기존 앱은 내년 10월부터 변경된 정책을 적용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번 애플의 수수료 인하 발표가 향후 구글의 결제 수수료 확대 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구글 역시 애플과 유사한 수준으로 수수료를 인하하지 않으면 개발자들이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앱스토어 시장 점유율은 애플이 약 25% 정도이고, 구글 플레이스토어가 63% 이상, 원스토어가 10%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